인도의 국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의 국장은 인도의 공식적인 국가 상징으로, 사르나트의 아쇼카 사자상을 바탕으로 한다. 1947년 독립 이후, 다양한 역사를 거쳐 1950년 1월 26일 '사티야메바 자야테'라는 모토와 함께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국장은 인도 정부의 공식 문서, 화폐, 여권 등에 사용되며, 엄격한 사용 규제를 받는다. 국장은 네 마리의 사자 중 세 마리가 보이며, 법륜, 말, 황소 등의 상징과 '진실만이 승리한다'는 의미의 데바나가리 문구로 구성된다. 과거 무굴 제국, 동인도 회사, 인도 제국 등의 다양한 상징이 사용되었으며, 각 주와 연방 직할지 또한 고유한 문장이나 상징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끼리 문장 - 코트디부아르의 국장
코트디부아르의 국장은 1964년에 녹색 방패와 은색 코끼리 머리를 특징으로 디자인되었으며, 공화국과 그 기관을 식별하고 단결과 연대를 촉구하는 역할을 한다. - 코끼리 문장 - 콩고 공화국의 국장
콩고 공화국의 국장은 콩고 공화국을 상징하며, 1970년부터 1991년까지는 망치와 괭이가 교차된 모습이었으나 현재는 붉은 사자가 횃불을 든 형태이다. - 소 문장 - 몰도바의 국장
몰도바의 국장은 붉은색과 푸른색 방패 안에 오록스 머리, 팔각별, 장미, 초승달 등의 상징물을 담고 있으며 왈라키아의 독수리에서 유래했고 몰도바 국기 중앙에도 그려져 있는 1990년 11월 3일에 제정된 국장이다. - 소 문장 - 마다가스카르의 국장
마다가스카르의 국장은 정치 체제 변화에 따라 라나발로나 2세 여왕의 문장부터 메리나 왕국, 프랑스령, 공화국, 사회주의 정권 시대를 거치며 다양하게 변천해왔으며, 이는 마다가스카르의 역사와 정체성을 보여주는 상징이다. - 말 문장 - 압하지야의 국장
압하지야의 국장은 1992년 독립 선언 후 제정되었으며, 은색과 녹색 방패 안에 신화 속 말 아라쉬를 탄 기마상이 별을 향해 화살을 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 말 문장 - 러시아의 국장
러시아의 국장은 러시아를 상징하는 국가 문장으로, 쌍두 독수리와 성 게오르기우스가 용을 물리치는 모습이 주요 구성 요소이며,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로부터 러시아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치며 변화를 겪어왔다.
인도의 국장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인도 공화국 |
채택일 | 1950년 1월 26일 |
모토 | 사티야메바 자야테: "진실만이 승리한다", 우파니샤드의 일부인 문다카 우파니샤드에서 유래 |
사용 용도 | 인도의 국가 상징 및 공식 문서, 통화, 여권 |
문장 구성 | |
방패 | 아쇼카의 사자상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Satyameva Jayate |
2. 역사
인도의 국가 상징은 역사적으로 여러 변화를 거쳐왔다. 무굴 제국(1526년 ~ 1857년) 시기에는 황실 인장이 사용되었고,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1757년 ~ 1858년)의 문장, 영국령 인도(1858년 ~ 1947년) 시기에는 영국의 국장 및 인도 제국의 상징인 '인도의 별' 등이 사용되었다.
1947년 8월 15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인도 연방 시기를 거쳐 1950년 1월 26일 인도 공화국이 출범하면서 현재의 국가 상징이 제정되었다.[1][6] 현재 국장은 사르나트의 아쇼카 사자상을 기반으로 하며, '진실만이 승리한다'(Satyameva Jayate|사티야메바 자야테hin)는 모토가 추가되었다. 국장 제정 과정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독립 이전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이전에는 여러 세력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상징이 사용되었다. 무굴 제국(1526년 ~ 1857년) 시기에는 공식적인 국장 대신 황실 인장이 제국을 상징하는 용도로 쓰였다.[1]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1757년 ~ 1858년)가 인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자체 문장을 사용하였다.[2] 세포이 항쟁 이후 영국 정부가 직접 통치하게 된 영국령 인도(1858년 ~ 1947년) 시기에는 공식적으로 영국의 국장이 사용되었으며,[3] 1877년 인도 제국 선포 이후에는 '인도의 별' 문양이 국장과 유사한 상징으로 널리 쓰였다.[4] 1947년 독립 후 인도 자치령(1947년 ~ 1950년) 시기에는 잠시 다른 상징이 사용되다가 현재의 국장이 제정되었다.[5] 이 외에도 포르투갈령 인도, 프랑스령 인도, 아자드 힌드 등에서도 각기 다른 상징을 사용하였다.2. 1. 1. 무굴 제국
무굴 제국(1526년 ~ 1857년) 시기에는 공식적인 국장 대신 황실 인장을 사용하였다. 이 인장은 해당 시기 무굴 제국을 상징하는 용도로 쓰였다.2. 1. 2. 동인도 회사
영국동인도회사 통치 기간 (1757년 ~ 1858년) 동안 사용된 영국동인도회사의 문장이다.2. 1. 3. 인도 제국
영국 동인도 회사는 1757년부터 1858년까지 인도에서 세력을 확장하며 자체적인 문장을 사용했다. 세포이 항쟁 이후 영국 정부가 인도를 직접 통치하게 된 영국령 인도(1858년 ~ 1947년) 시기에는 영국 의회의 공식 문서, 간행물 등에는 영국의 국장이 사용되었다.1877년 빅토리아 여왕이 인도 황제로 즉위하면서 인도 제국이 선포되었고, 인도 내에서는 '인도의 별' 문양이 국장과 유사한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이는 1947년 인도가 독립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2. 1. 4. 포르투갈령 인도
2. 1. 5. 프랑스령 인도
2. 1. 6. 아자드 힌드
2. 2. 독립 이후
1947년 8월 15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새로운 국가 상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초기에는 1947년 12월 30일에 사르나트의 아쇼카 사자상을 기반으로 한 상징이 임시로 채택되어 사용되었다.[1] --이후 인도 헌법 제정과 함께 국가 상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헌법 원고 장식 작업에는 난달랄 보세와 그의 제자들이 참여했다.[2][3][4][5] 마침내 1950년 1월 26일, 인도 공화국이 공식 출범하면서 모토인 Satyameva Jayate|사티야메바 자야테hin('진실만이 승리한다')가 추가된 아쇼카 사자상이 인도의 공식 국장으로 최종 채택되었다.[6] 국장의 구체적인 채택 과정과 도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2. 1. 인도 연방
1947년 8월 15일 영국의 지배가 끝난 후, 새롭게 독립한 인도 연방은 1947년 12월 30일 공식적인 국가 상징을 채택했다. 이 상징은 직사각형 틀 안에 사르나트의 아쇼카 사자상을 묘사한 것이었다.[1] 인도 헌법 원고를 장식하는 작업은 인도 국민회의에 의해 난달랄 보세(당시 산티니케탄 또는 칼라 바반 산티니케탄의 교장)에게 맡겨졌다.[2][3] 보세는 그의 제자들(그중 한 명은 당시 21세였던 디나나트 바르가바)의 도움을 받아 이 작업을 완료했다.[4] 보세는 아쇼카 사자상을 헌법의 첫 페이지에 포함시키기를 원했으며, 사자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콜카타 동물원에서 사자들의 행동을 연구한 바르가바를 이 작업에 참여시켰다.[5]1950년 1월 26일, 모토인 Satyameva Jayate|사티야메바 자야테hi 위에 놓인 아쇼카 사자상이 인도의 국가 상징으로 최종 채택되었다.[6]
2. 2. 2. 아쇼카 사자상 채택
1947년 8월 15일 영국의 지배가 끝난 후, 새롭게 독립한 인도 연방은 1947년 12월 30일 공식적인 국가 상징을 채택했다. 이 상징은 직사각형 틀 안에 사르나트의 아쇼카 사자상을 묘사한 것이었다.[1] 인도 헌법 원고를 아름답게 꾸미는 작업은 인도 국민회의에 의해 난달랄 보세(당시 산티니케탄 또는 칼라 바반 산티니케탄의 교장)에게 맡겨졌다.[2][3] 보세는 그의 제자들(그중 한 명은 당시 21세였던 디나나트 바르가바)의 도움을 받아 이 작업을 완료했다.[4] 보세는 아쇼카 사자상을 헌법의 첫 페이지에 포함시키기를 원했다. 사자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를 원했던 그는 콜카타 동물원에서 사자들의 행동을 연구한 바르가바를 이 작업에 참여시켰다.[5]1950년 1월 26일, 모토인 Satyameva Jayate|사티야메바 자야테hin 위에 놓인 아쇼카 사자상이 인도의 국가 상징으로 최종 채택되었다.[6]
3. 사용 및 설명
인도 정부의 공식 편지지에 사용되며 모든 인도 화폐에도 나타난다. 또한 여러 곳에서 인도의 국가 상징으로 기능하며 인도 여권에 두드러지게 표시된다. 국장 사용은 인도 국가 상징 (부적절한 사용 금지) 법, 2005년에 따라 규제되고 제한되며, 이에 따라 개인이나 민간 기관은 공식 서신에 국장을 사용할 수 없다.
국장은 사르나트의 아쇼카 사자상을 도안화한 것으로, 국장 도안의 일부인 아쇼카 차크라(법륜)는 인도 국기 중앙에도 자리하고 있다. 국장 하단에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사티야메바 자야테'' (सत्यमेव जयते|사티야메바 자야테sa; "진실만이 승리한다")라는 모토가 새겨져 있다.[8][9]
3. 1. 아쇼카 사자상

실제 사르나트 사자상은 힘, 용기, 자신감, 자부심을 상징하는 네 마리의 아시아 사자가 등을 맞대고 서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원형 기단 위에 있으며, 아래에는 말과 황소가 있고, 중앙에는 법륜이 있다. 주판은 북쪽의 사자, 서쪽의 말, 남쪽의 황소, 동쪽의 코끼리를 묘사한 고부조 조각의 프리즈로 장식되어 있으며, 활짝 핀 연꽃 위에 놓여 생명과 창조적 영감의 원천을 보여준다. 단일 사암 블록으로 조각된 윤이 나는 상단에는 법륜이 놓여 있다. 국장의 기저부에 있는 아쇼카 차크라(아쇼카 법륜)는 인도 국기 중앙에도 자리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채택된 국장에서는 네 마리 사자 중 세 마리만 보이고, 나머지 한 마리는 보이지 않는다. 법륜은 주판 중앙에 부조로 나타나 있으며, 오른쪽에는 황소가, 왼쪽에는 질주하는 말이 있고, 극단적인 오른쪽과 왼쪽에는 법륜의 윤곽이 있다. 주판 바로 아래에는 말과 황소가 묘사되어 있다. 황소는 근면과 굳건함을, 말은 충성심, 속도, 활력을 나타낸다. 주판 아래의 종 모양 연꽃은 생략되었다.[7]
국장의 필수적인 부분을 이루는 것은 모토로, 주판 아래 데바나가리 문자로 새겨져 있다: ''사티야메바 자야테'' (सत्यमेव जयते|사티야메바 자야테san; 문자 그대로 "진실만이 승리한다").[8] 이것은 ''무단카 우파니샤드''[9], 신성한 힌두교 베다의 결론 부분에서 인용한 것이다.
3. 2. 사티야메바 자야테
국장의 필수적인 부분을 이루는 것은 모토로, 주판 아래 데바나가리 문자로 새겨져 있다: ''사티야메바 자야테'' (सत्यमेव जयते|사티야메바 자야테sa; 문자 그대로 "진실만이 승리한다").[8] 이것은 ''무단카 우파니샤드''[9], 신성한 힌두교 베다의 결론 부분에서 인용한 것이다.4. 국가 기관의 상징
인도의 여러 중앙 정부 기관 및 주 정부 기관에서는 인도의 국장을 공식적인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기관의 권위와 국가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기능한다. 구체적인 활용 사례는 각 기관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4. 1. 중앙수사국
5. 건축물에서의 사용
인도의 국장은 건축물의 장식으로도 활용된다. 카르나타카 주 의회 청사인 비다나 소다의 중앙 돔 위에는 아쇼카의 사자상을 본뜬 인도의 국장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6. 주 및 연방 직할지의 상징
인도의 인도의 주와 연방 직할지 대부분은 자체적인 주 문장, 인장 또는 상징을 채택하여 공식 정부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달리 6개 주와 5개 연방 직할지는 국장에 특정 문구를 추가하여 공식 정부 인장으로 활용한다.
또한, 인도 헌법 제6일정에 따라 설립된 일부 자치구 의회 역시 자체적인 공식 문장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7. 역사적 인장 및 상징
인도 아대륙의 오랜 역사 속에서 수많은 왕조와 제국들은 자신들의 권위와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인장과 상징을 사용해왔다. 이러한 상징들은 단순한 문양을 넘어 각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적 특징을 반영하는 중요한 시각적 요소였다. 고대부터 중세, 근세를 거치며 각 통치 세력은 고유한 도안과 의미를 담은 상징 체계를 발전시켰으며, 이는 동전, 건축물, 문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나타났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인도 역사 속 주요 왕조 및 국가들이 사용했던 대표적인 인장과 상징들을 시대별로 살펴본다.
7. 1. 중세 시대
(내용 없음)7. 1. 1. 판디아 왕조
7. 1. 2. 비자야나가라 제국
7. 1. 3. 아홈 왕국
7. 2. 근세 시대
(내용 없음)7. 2. 1. 무굴 제국
7. 2. 2. 마라타 제국
참조
[1]
웹사이트
Press Communique' - State Emblem
http://pib.nic.in/ar[...]
[2]
웹사이트
Celebrating Nandalal Bose, artist who rejected everything British & designed India's constitution.
https://theprint.in/[...]
2018-12-03
[3]
뉴스
Bringing out the kala
https://www.thehindu[...]
2019-09-04
[4]
웹사이트
We Know Very Little About The Man Who Designed Our National Emblem. Here Are Some Facts Him.
http://www.indiatime[...]
2019-09-04
[5]
웹사이트
A Tribute to the Artist who Sketched and Illuminated India's National Emblem
https://www.thebette[...]
2019-09-04
[6]
웹사이트
A Tribute to the Artist who Sketched and Illuminated India's National Emblem
https://www.thebette[...]
2019-09-15
[7]
웹사이트
The State Emblem Of India (Prohibition Of Improper Use) Act, 2005
https://web.archive.[...]
2005-12-20
[8]
법원
http://mha.nic.in/pd[...]
2011-07-14
[9]
웹사이트
Rajya Sabha Parliamentary Standing Committee On Home Affairs: 116th Report on The State Emblem Of India (Prohibition Of Improper Use) Bill, 2004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Kashmir Accession document side 2
https://upload.wikim[...]
[11]
웹사이트
State Emeblem of India (Prohibition of Improper Use) Act, 2005, Sch.
http://mha.nic.in/pd[...]
[12]
웹사이트
Rajya Sabha Parliamentary Standing Committee On Home Affairs: 116th Report on The State Emblem Of India (Prohibition Of Improper Use) Bill, 2004
http://rajyasabha.ni[...]
[13]
웹사이트
National Emblem of India
http://travels.tal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